헬스&운동

고중량 저반복 저중량 고반복 차이점(FEAT. 횟수, 반복수, 세트수)

컨설턴트 2022. 7. 8. 09:30
반응형

오늘은 헬스 포스팅 19편이다.

 

여러분이 자주 질문하는 것 중 하나인,

 

고중량 저반복 VS 저중량 고반복의

 

차이점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 횟수, 반복수, 세트수의 개념은 당연히!

 

 

'고중량은 횟수를 몇 번 하는 거에요?'

 

'고중량의 기준은 무엇이죠?'

 

'고중량하려면 세트수는 어떻게 하죠?'

 

이러한 질문을 오늘 포스팅으로 해결하자.

 

 

 

내 블로그가 처음이라면,

 

카테고리 ▶ 헬스&운동 1편부터 보고와.

 

안 보고 오면 이해 못할게 분명하다.

 

 

시키는 건 제발 꼭 하자.

 

괜히 엉뚱한 데 가서 돈/시간 쓰지 말고.

 

 

무료로 배우는 온라인

 

(트니스) (스토리) 19편 시작한다.

 

 

그렇다고 공짜는 아니다.

 

공감 클릭 한 번 정도는 해줄 수 있잖아?

 

 

 

그럼 이제 시작해보자.

 

일단 여러분이 이 글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기본 지식을 조금 확실하게 해야 한다.

 

 

1. 중량(=무게)

 

2. 횟수(=반복수)

 

3. 세트수

 

 

헬린이들을 위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중량과 횟수는 연관되어 있는데,

 

여러분이 만약 팔굽혀펴기를 10개 씩,

 

총 4세트를 한다고 가정해보자.

 

그렇다면 여기서 3가지는 아래와 같다.

 

1. 중량(=무게) ▶ 자신의 몸무게

 

2. 횟수(=반복수) ▶ 10개

 

3. 세트수 ▶ 4세트

 

여러 분이 헬린이든 아니든,

 

오늘 포스팅을 이해하려면,

 

여기까지는 이해가 되어야 한다.

 

용어는 확실하게 알아야 한다는 소리다.

 

아직 모른다면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

 

헬스 웨이트 관련 기초 단어 5가지

헬스와 웨이트에 관련된 기초 단어, 이 기초 단어를 꼭 미리 알아야 한다. 뭐 가지고 오라고 시키면, 눈만 멀뚱멀뚱 뜨면서 쳐다보지 말고. 헬스 포스팅 7편이다. 내 블로그가 처음이라면, 카테고

fitness.tistory.com

 

 

 

어쨌거나 내 시간은 금이니까 시작.

 

 

 

여러 분이 어떠한 운동을 하든지 간에,

 

가장 중요한 것은 '기준'이다.

 

그리고

 

그 '기준'은 중량과 횟수와 연관된다.

 

 

 

 

예를 들어서 스쿼트를 한다고 가정하자.

 

여러분이 만약에 40kg으로 스쿼트를

 

12개 씩 한다면,

 

여기서 중량은 40kg, 횟수는 12개다.

 

하지만 여기서의 핵심은,

 

40kg로 정말 12개 밖에 못하냐는 것.

 

 

 

자 다시 말한다.

 

'기준'은 중량과 횟수와 관련되어 있는데,

 

그 '기준'을 제대로 세우는 것이 첫 번째다.

 

 

그 '기준'을 맞추는 중량과 횟수는,

 

마지막 1개를 겨우 하는 수준이어야 한다.

 

이 말이 오늘 포스팅에서 가장 중요하다.

 

 

 

이 '기준'이 모호하다면 오늘 배울,

 

고중량 저반복, 저중량 고반복은 

 

아무런 쓰잘대기가 없어지니 집중하자.

 

 

 

아, 이렇게 하면 조금 더 이해하기가 쉽겠다.

 

고중량이니 저중량이니,

 

고반복이니 저반복이니를 따지지 말고,

 

일반중량(기준), 일반반복(기준)을 세우는 게

 

첫 번째라는 소리다.

 

 

 

무튼 그렇다면,

 

일반중량(기준)과 일반반복(기준)은 무엇일까?

 

일단 기준점인 반복 횟수는 10 ~ 12개이다.

 

그리고

 

여러분이 아슬아슬하게 이 기준을 만족하는,

 

다시 말해 10~12개를 겨우 할 수 있는 중량

 

일반 중량(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서

 

여러분이 벤치프레스를 한다고 가정하자.

 

여러분이 양 바벨에 20kg씩 꽂아서,

 

총 40kg으로 벤치를 한다고 해보자.

 

 

여러분이 반복하다가 9개를 했다면?

 

그리고 더 이상은 들 수가 없었다면?

 

 

그러면 기준 중량은 40kg 이하가 된다.

 

그러니 무게를 줄여야 한다.

 

 

 

조금 쉬다가 여러분이 30kg으로 했는데,

 

반복 횟수가 14개를 했다면?

 

그리고 더 이상은 들 수가 없었다면?

 

 

그러면 기준 중량은 30kg 이상이겠지.

 

 

 

이런 식으로 몇 세트를 하다보면,

 

30kg ~ 40kg의 어디 중간 지점에서

 

여러분의 기준 중량을 찾아낼 수 있다.

 

 

 

아직도 이해 안되면 그냥 나가라.

 

더 이상 쉽게 설명하기엔 너무 귀찮다.

 

 

 

내가 왜 이렇게 쉬운 기본적인 내용들에,

 

나의 금같은 시간을 사용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은 상황을 많이 봐왔기 때문이다.

 

반응형

 

 

 

자신의 기준이 60kg이면서(반복수는 12회)

 

60kg을 가지고 6번을 반복하며 하는 말이

 

고중량 저반복을 한다고 우기는 경우.

 

 

 

자신의 기준이 30kg이면서(반복수는 12회)

 

5kg을 가지고 15번을 반복하며 하는 말이

 

저중량 고반복을 한다고 우기는 경우.

 

 

 

 

위와 같은 것들은,

 

고중량 저반복, 저중량 고반복이 아니라.

 

그냥 운동을 대충, 설렁설렁하는 것이다.

 

자 이제 일반 중량과 일반 횟수,

 

즉 그것들의 기준점은 확실히 알았으니

 

오늘의 본론으로 들어가보자.

 

 

일반 중량을 재는 척도가 '반복 횟수'이듯,

 

고중량과 저중량을 잡는 방법도 횟수다.

 

 

반복 횟수를 1~10회로 잡는 것이

 

고중량 저반복

 

반복 횟수를 12회~20회로 잡는 것이

 

저중량 고반복이다.

 

 

당연히 여기서 중요한건 횟수가 아니라,

 

그 횟수를

 

겨우 성공할 수 있는 무게를 고르는 것.

 

 

 

그리고 하나 더!

 

고중량 저반복이든, 저중량 고반복이든

 

세트수는 고려대상이 아니다.

 

고중량 저반복으로 운동을 하든,

 

저중량 고반복으로 운동을 하든,

 

세트수는 3~4SET로 동일하게 해야 한다.

 

 

참고로 내가 추천하는 룰은 어떤 운동이든,

 

반복 12회, 1분 휴식, 4세트 실시이다.

 

 

아 오늘 기본 지식을 설명하다가,

 

시간을 너무 많이 쓴 관계로,

 

제대로 된 차이점은 다음 포스팅에서.

 

여러분에게 해줄 말이 너무나 많은데

 

오늘은 시간이 부족하다.

 

 

 

바쁘다면 아래의 한 줄만 외우면 된다.

 

고중량 저반복, 저중량 고반복의 차이는

 

'근육'과 '근력', 그리고 '근지구력'이다.

 

 

 

내 블로그에 1시간만 투자하면,

 

여러분  PT횟수 5회는 아낀다 ^^

 

 

 

공짜로 배우고 싶으면 다음 글 보면 되고,

 

아니면 또 트레이너한테 돈 갖다 바치거나,

 

마법의 운동법 찾으러 사이트 돌아다니거나,

 

걍 포기하고 치킨 뜯거나.

 

공감과 구독하기 클릭 한번 잊지말자.

반응형